업무스타일 알기(2) 평등적 vs 위계적
평등적 vs 위계적 : 조직구조와 파워
요즘은 조직의 문화에 따라 수평Flat 조직, 홀라크라시Holacracy(관리자 직급이 없고 상하 위계질서에 의한 의사 전달이 아닌 구성원 모두가 동등한 위치에서 업무를 수행)와 같은 다양한 조직 구조가 생겨나고 있다. 조직 구조는 의사 결정, 소통 방법 등 개인의 일하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신이 편안하게 느끼고 선호하는 조직 구조와 권력의 분배 방법을 아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상하로 명확하게 구분된 위계적인 조직 구조를 편안하게 느끼는사람들은 누군가가 명확한 가이드라인을 주고 목표를 설정해주는 것을 선호한다. 상하의 구분보다는 수평적인 조직 구조가 익숙한 사람들은 지시를 받기보다는 본인이 직접 목표를 정하여 자유롭게 일할때 더 잘하는 사람이 많다.
위계는 나쁜 것이 아니라, 필요한 것.
가끔 ‘위계’라는 단어를 강압적 또는 소통이 없는 것의 수식어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의미 자체를 부정적으로 생각하기도 합니다. 하지만 위계는 조직을 효율적으로 움직이고 관리하기 위해 꼭 필요합니다.
산업의 속성에 따라 위계적인 문화가 지배적인 조직이 있는가 하면, 평등적인 문화를 최대한 활용해야 하는 곳도 있습니다.
평등한 조직 구조가 무조건 혁신이나 창의성을 만들어내는 것으로 과대평가하는 것 또한 매우 위험합니다.
둘 사이에는 좋고 나쁨의 우위가 있는 것이 아닙니다. 위계와 평등을 동등하게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조직에서 보이는 평등과 위계
조직에서의 평등과 위계는 조직의 구조와 권력 분배의 차이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차이는 조직의 전반적인 부분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조직 환경(사무실 구조 등), 복장 등 눈에 보이는 부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사무실 구조
조직에서 가장 잘 드러나는 평등과 위계의 차이 중 하나는 구성원들이 일하는 사무실 배치라고 할 수 있는데요. 사무실이 구성원 전원에게 개방된 공간으로 배치되어 있는 조직은 계층의 평등과 개방성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을 의미하는 반면 직급과 직책에 따라 사무실 공간을 구분한다면 위계에 따라 역할과 책임이 다르다는 것을 읽어낼 수 있습니다.
평등한 업무 스타일을 지향하는 곳의 사무실 구조는 조금 색다를 수 있습니다. Valve라고 하는 게임 회사는 ‘완전하게 평등한 열린 조직’을 지향하고 있는데요. 회사에는 명시적인 관리자와 보스가 없고, 개인이 자발적으로 모여 팀을 꾸리고 일하는 방식만이 존재한다고 합니다. 이런 조직 구조의 특징 때문에 벨브 사의 책상들에는 바퀴가 달려 있습니다. 관리자가 존재하지 않는 수평 구조이기 때문에 아무도 일을 시키거나 참여할 프로젝트를 지정해주지 않으며, 구성원들은 일을 찾아 바퀴 달린 책상을 밀어가며 자리를 옮기기만 하면 됩니다. 아니면 스스로가 프로젝트를 만들고 함께 일할 사람을 구해 책상을 끌고 오도록 할 수도 있습니다.
상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차이
“상사가 팀 전체의 업무에 대한 정확한 답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에 대한 답변을 마음속으로 생각해봅시다. 한 학술지에 실린 이 질문에 대한 답변을 조사한 결과를 보면 위계적인 문화일수록 상사가 정확한 답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답했다.
상사의 역할에 대한 기대 차이는 업무 상황에서 다양한 행동 변화를 만들어 낸다. 평등적인 부하 직원은 상사도 팀의 일부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상사의 역할을 멘토 또는 조력자 정도로 여긴다. 상사가 업무에 대해 많은 지시를 하거나 가이드라인을 줄 것이라고 기대하지 않으며, 본인이 맡은 업무의 책임은 본인이기 때문에 상사의 의견을 무조건적으로 수용하지 않는다.
반면 위계적인 부하 직원은 상사가 팀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고, 모든 업무의 책임을 상사에게 둔다. 일단 상사의 지시사항이나 가이드라인을 기다리며, 그것이 있어야 안정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고 믿는다. 동료나 후배보다는 상사에 게 마지막으로 점검 받기를 기대한다.
평등적 : 일하는데 직급이 왜 필요한가요?
- 상사에게 도전하는 것이 불편하지 않다.
- 역할에 유연하다.
- 모든 사람을 동등하게 대한다.
위계적: 조직에는 위치에 따른 역할이 있거든.
- 상사에게 도전하지 않는 것을 선호 한다.
- 상사에게 공손하게 한다.
- •위계에 따른 행동에 적응한다.
- 집단의 소수 사람들에게 권력과 권 위가 있다고 생각한다.
You may also like

HR담당자를 위한 추석연휴 킬링타임 콘텐츠 모음
11 9월, 2019

업무스타일 알기(1) 독립적 vs 상호의존적 : 나와 우리 중에 무엇이 더 중요한가?
22 4월, 2019

나는 얼마나 위계적인가?
2 4월, 2019